드디어 최근에 열린책들에서 출판된 매그레 시리즈를 모두 모았다. 

모두 21권, 이 중에서 아직 안 읽은게 5권.

 

책 뒤에 보면 여러 작가들이 심농의 작품에 대한 평가가 인쇄되어 있다.

 

헤밍웨이는 “만약 아프리카 우림에서 비 때문에 꼼짝 못하게 되었다면, 심농을 읽는 것 보다 더 좋은 대처법은 없다. 그와 함께라면 나는 비가  얼마나 오래 오든 상관 안 할 것이다.”

루이스 세플베다는 “겨울에는 꼬냑 한 통, 그리고 심농 소설과 지내는 게 최고다.”

위에 두개 의견에 100% 공감, 우선 심농은 엄청나게 많은 작품을 썼다. 그래서 얼마나 비가 오든 읽을 꺼리가 떨어질 걱정은 안 할듯, 그리고 작품 한편의 분량이 길지가 않다, 아니 오히려 누벨라 라고 하는 중편 정도... 그래서 끊어 읽기 딱 좋다.

 

알베르 카뮈는 “심농을 읽지 않았다면 이방인을 이렇게 쓰지 않았을 것 이다.” 

윌리엄 포크너는 “ 나는 심농 읽기를 즐긴다. 심농을 읽노라면 체호프가 떠오른다.”

역시 위에 평가에도 적극 공감하며 내가 심농을 좋아하는 이유, 이방인을 읽다보면 심농 스타일이 느껴진다.

이 심농 스타일 이라는건 뭐랄까 사람이 나온다고 할까?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 그리고 그것들이 이루어진 사회를 다룬다.

대게의 추리 소설은 뭔가 대단한 트릭이나 아니면 어떤 설정 뭐 이런데 초점을 맞추는데 심농 소설에는 대신 범죄 저지를 수 밖에 없는 사연과 관계들을 다룬다. 

 

그리고 이런 사람들의 심리를 표현하는 방법과 관계를 설명하는 방식에서 체호프를 엿 볼 수 있다. 

심농 소설은 분위기가 중요하다. 그리고 심농은 그 묘한 분위기, 인간 관계 속에 긴장 뭐 그런걸 단순하고 압축적으로 묘사한다.

 

대부분의 추리 소설에는 범죄와 범죄자 또는 형사 또는 탐정 또는 범죄 수법 만이 기억에 남지만 심노을 읽고 나면 사람을 생각하게 된다.

어려서 부터 많이 들어 보았지만 실제 읽은 사람은 많지 않을 것 같은 작품 중에 하나가 아닐까... 드라큘라 처럼.

이 책이 출간된 지 올해가 201년이 됬군. 1818년 초판 출간.

1818년 우라나라는 조선시대 순조.

 

부의 불평등과 계급에 관한 문제는 어느 시대에나 있었던 것 같다. 여기 이 소설에도 그런 언급이 있으니까.

연금술에 빠진 반쯤은 편집증을 가진 대학생이 실험실에서 인조 인간을 만든다는 설정은 당시로서는 정말 기발 했었을 것 같다.

소설의 주된 내용은 인조인간 눈으로 본 인간성에 대한 

 

+ Recent posts